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뉴스 > 종합

강아지가 물을 많이 먹어요!

 

[폴동물병원의 알쓸반잡] 안녕하세요. 24시 폴 동물 병원입니다. 진료를 보다 보면 물을 갑자기 많이 먹는다는 아이를 많이 보게 되는데요. 특별한 문제가 안되는 경우도 있지만 당뇨, 자궁축농증 등 큰 질환의 증상인 경우도 많습니다.

 

사진
사진=폴동물병원 공식 블로그 화면 갈무리(이하)

우리 아이가 예전부터 물을 많이 먹고 소변을 많이 보나요..? 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강아지가 필요한 물 섭취량은?


​강아지에게 하루 필요한 물을 양은 체중(Kg) 당 50-60ml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kg의 강아지라면 5kg x 60ml = 300ml, 하루 총 300미리의 물을 공급해 주시면 됩니다.

다만 캔 사료와 같은 수분이 80%가량 되는 음식을 섭취한다면 그만큼 수분 섭취량이 줄어도 괜찮습니다.

지금 우리 아이가 물을 적게 먹는지 너무 많이 먹는지 판단해 보시고 너무 적게 먹는다면 수분 섭취량을 늘려주시고 너무 많이 먹는다면 질병 유무를 체크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가 물을 많이 먹는 이유

​강아지가 물을 많이 먹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다만 특정 질환에서 초기 증상으로 물을 많이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래 내용을 잘 참고하신다면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먼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질병적 원인과 비 질병적 원인입니다.

질병적 원인을 나열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당뇨병

인슐린 분비 부족 또는 체내 인슐린 저항성 때문에 혈당이 높아지는 질환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잦은 물 섭취와 소변량 증가가 있습니다. 혈액검사, 소변검사를 통해 진단하게 됩니다.

신부전

신장 기능이 서서히 감소하는 질환으로 주로 고령의 강아지에게 발생합니다. 물 많이 먹는 증상 외에 구토, 식욕부진, 체중 감소, 무기력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쿠싱 증후군

부신 피질 기능 항진증이라고도 하며 부신이라는 호르몬 장기에서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이 과잉 분비되는 질병입니다. 수분 섭취량 증가 외에 탈모, 피부질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르몬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자궁 축농증

중성화하지 않은 암컷 강아지에서 생길 수 있는 응급 질환인데요. 초기 증상으로 물을 많이 먹는 증상이 있습니다. 강아지에서 많이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약물 부작용

스테로이드나 이뇨제와 같은 약물은 부작용으로 수분 섭취량 증가, 소변량 증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질환들

간질환, 요붕증, 고칼슘혈증 등 다양한 질병이 있습니다.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을 통해 진단이 가능합니다.

​​

비 질병적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더운 날씨 또는 환경 온도 상승

더운 날씨나 높은 실내 온도는 강아지의 체온을 높이고 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는 땀을 흘리지 않습니다. 대신 호흡을 통해 열을 방출하고 이 호흡으로 소실되는 수분을 보충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 물을 마시게 됩니다.

​운동 후 갈증

강아지가 활발히 뛰거나 산책, 놀이를 한 뒤에는 체온이 상승하고 수분이 소모되면서 갈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현상이며 더운 날 산책하는 경우 물을 꼭 챙겨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짠 음식이나 간식 섭취

간식 중에 염분이 높은 간식을 먹거나 사람 음식을 먹는다면 고염분에 의해 물을 많이 마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임신 중 혹은 수유 중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강아지의 경우 수분 필요량이 평소보다 증가합니다. 이는 체내 영양소와 수분을 새끼에게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물을 더 많이 필요로 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강아지가 평소와 다르게 물을 많이 먹는 경우 위 내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혹시 질병적 원인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동물 병원에 오셔서 진단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리는데요

​​

특히 나이가 7살이 넘었다면 위에 나열한 당뇨, 신부전, 쿠싱 등 질병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더 세심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김평 수의사(kimpyung@hanmail.net)​

 
목록

회원 댓글 0건

  • 비글
  • 불테리어
  • 오렌지냥이
  • 프렌치불독
코멘트 작성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욕설 및 악플은 사전동의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스티커댓글

[0/3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