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동물병원의 알쓸반잡]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양이 심장병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고양이의 심장병은 강아지와 다르게 증상이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심각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건강해 보이더라도 미리 검사하고 관찰해 주시는 것이 필요한데요. 고양이에는 어떤 종류의 심장병이 있고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키는 심장병의 경우 어떤 단계가 있는지... 오늘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고양이 심장병의 종류

고양이 심장병은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강아지와는 발생 빈도가 전혀 다릅니다.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심장병부터 설명해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고양이 HCM(심근비대증)
-고양이 심장병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질병이며 실제로 가장 많이 진단됩니다.
-특징
좌심실 벽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집니다. 심장의 이완이 어려워지고 혈류가 제한됩니다.
-증상
병이 진행되기 전 초기에는 무증상입니다. 진행 시 호흡곤란, 흉수, 기력저하, 후지 마비(ATE, 혈전색전증) 등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진을 내릴 수 있습니다. 보조적으로 proBNP(심장병 키트) 검사, x-ray 검사, 혈압검사 등이 진행됩니다.
•제한성 심근 병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RCM)
-두 번째로 흔한 심장병이지만 HCM에 비해 빈도가 많이 떨어집니다.
-특징
심장 근육이 경직되고 이완이 제한됩니다. 심실 내 섬유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나이 든 고양이에서 발생합니다.
-증상
초기에는 무증상. 진행된다면 호흡곤란, 흉수 등 HCM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
심장 초음파 검사상 이완기 기능 장애를 확인하게 됩니다.
•기타 희박한 심장병
-확장성 심근 병증(DCM, Dilated cardiomyopathy)
심장근육이 얇아지고 심장이 확장되는 질환입니다. 증상은 식욕부진, 호흡곤란, 식욕 저하 등 다른 심장병과 유사합니다.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심근 병증(ARVC, arrhythomogenic right ventricular cardiomyopathy)
우심실에 지방 또는 섬유조직이 축적되어 부정맥을 유발하는 질환. 젊은 고양이에서 발병합니다. 실신, 급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내막염
-심내막 섬유증
-선천성 심장병(VSD, PDA, AS 등)
▲고양이 심장병의 단계
고양이의 심장병은 모두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A, B1, B2, C, D 단계로 구분하게 되는데요. ACVIM(미국 수의 내과학회) 가이드라인을 따라 진단하게 됩니다.

A 단계
•특징
심장병 발병 위험이 높은 상태이지만 아직 심장 구조나 기능에 이상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가족력이 있거나 특정 품종이 고위험군으로 간주됩니다.
•호발 품종
-메인 쿤(Maine Coon): HCM(심근비대증) 발병률이 매우 높은 종입니다. 전체 메인 쿤의 약 30%가 관련 유전자(MYBPC3)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2~4세부터 시작되며 나이가 들수록 증가합니다.
-랙돌(Ragdoll): 랙돌 종 또한 관련 유전자를 보유하여 발병률이 높습니다.
-브리티시 숏헤어(British shorthair):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편
-아메리칸 숏헤어(American Shorthair): 발병률은 중간 이상이며 다른 고양이에 비해 약간 높은 편입니다.
-샴(Siamese): HCM보다는 RCM에 취약합니다.
-벵갈(Bengal)
-페르시안(Persian)
-노르웨이 숲(Norwegian Forest Cat)
-스코티시 폴드(Scottish Fold)
-Domestic Short hair
•호발 품종은 수의사 상담 후 6개월 간격 심장 체크(종에 따라 다름)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심장 초음파보다는 proBNP 키트 검사를 통해 발병 유무를 먼저 체크합니다.

B 단계
무증상기(Asymphtomatic)이며 B1, B2로 나뉠 수 있습니다.
•B1 단계
심장병은 있지만 경미한 변화만 있고 증상이 없는 단계. 6개월 간격 모니터링(심장초음파 검사)만 필요하거나 소량의 약물만 처방하는 단계입니다.
•B2 단계
B1 단계에 비해 심장의 구조적 이상이 더 명확해진 단계. 증상이 아직 없지만 발현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계를 말합니다. 약물치료(ACE 억제제, 베타 차단제, 혈전 예방 약물 등)가 필요합니다. 상태에 따라 2~3개월 간격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진단: 심장초음파 검사, x-ray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게 됩니다

C 단계
증상 발현기(Symptomatic)
•특징
심장병으로 인한 증상이 처음 나타나는 단계입니다. 호흡곤란, 기침, 기력 저하 등 폐수종, 흉수가 발생 가능합니다. 후지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x-ray(엑스레이), 심장초음파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아이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관리
이뇨제, 혈압조절 약물, 혈전 예방 약물 등이 필요합니다. 필요시 산소 치료, 흉수 제거 등 응급처치가 진행됩니다.
D 단계
말기 심부전(End-Stage)
•특징
중증 증상이 지속되며 기존 치료로 증상 조절이 어려운 단계를 말합니다. 반복적인 폐수종, 흉수, 혈전이 발생하고 삶의 질이 심각하게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관리
고용량 이뇨제, 강심제 등 강한 약물이 필요합니다. 삶의 질 유지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예후가 매우 안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늘은 심장병의 종류와 단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고양이 심장병은 초기에는 증상이 전혀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큰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김평 수의사(kimpyung@hanmail.net)
회원 댓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