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수는 21곳(산 17곳, 바다 4곳)이며, 국립공원 마다 깃대종이 선정되어 있다. 깃대종(Flagship Species)이란 특정지역의 생태와 지리,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야생 동식물이다. 특히 사람들이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종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개별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모두 39종의 야생 동‧식물을 깃대종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트펫>은 우리 국토의 깃대종을 일반에 널리 알려, 이들 희귀종을 국민 모두가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동물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깃대종으로 지정된 동물은 총 20종으로 포유류 6종을 비롯해 조류 7종, 양서‧파충류 3종, 곤충류 1종, 어류 3종이 포함되어 있다.
전라남도 영암군에 위치한 월출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은 ‘남생이’이다. 이 종은 우리나라 중, 남부에서 서식하는 민물거북으로 과거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그 개체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희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지난 2010년부터 '남생이' 복원사업을 시작해, 지난해 7개의 알을 인공부화하는데 성공했고, 올해도 4개의 알을 인공부화시켰다. 이에따라 안정적인 복원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평가이다.
![]() |
ⓒ노트펫 남생이 부화 ; 국립공원관리공단 |
주로 냇가나 연못에서 살며, 20~25센티미터 정도의 크기로 짙은 갈색의 등딱지는 배딱지와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머리 뒤쪽은 작은 비늘로 덮여 있으며, 머리 옆면을 따라 검은 테가 있는 노란색 무늬가 있다. 네 발에는 각각 5개의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고 넒은 비늘로 덮여 있다. 수컷이 암컷보다 작고 흔히 검은빛을 띤다.
겨울에는 진흙속에 월동을 했다가 6~8월에 모래 속에 구멍을 파고, 한 배에 5~15개의 알을 낳는다. 민물에서는 풀과 물고기,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 잡식성이다. 성질이 온순하여 애완동물로 이용되지만 겨드랑이와 사타구니 밑샘에서는 심하게 냄새가 난다.
![]() |
ⓒ노트펫 남생이 가족 ; 문화재청 제공 |
옛 문헌에 따르면 거북 또는 남생이를 귀(龜)라 했고, 자라는 별(鼈)이라고 불렀다. 지난 2005년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됐고, 2012년에는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회원 댓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