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뉴스 > 문화

고양이가 갑자기 윙크를 한다면?

우리 고양이가 갑자기 윙크를 하는 것처럼 보인다면? 눈이 붓고 눈물이나고 갑자기 눈꼽이 많이 낀다면 이번 월간 자유펫 7월호를 주목해주세요. 고양이 결막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감염성 결막염의 증상, 그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결막염의 원인? 

결막은 눈꺼풀의 안쪽과 안구의 가장 바깥쪽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으로 이 부위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결막염이라 합니다. 고양이의 결막염은 대부분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는 것이 강아지 결막염과의 차이점 입니다.

 

고양이의 결막염은 가장 대표적으로 고양이 허피스바이러스, 칼리시바이러스, 클라미디아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다른 내재 질환에 의해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결막염이 함께 발생할 수 있으며 고양이 모래, 먼지에 의한 물리적 자극에 의해서도 눈물량이 증가하고 결막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결막염의 증상? 

결막염이 있는 경우 눈물량이 증가하고 눈꼽이 많이 끼며 해당 눈을 깜빡거리거나 눈이 부어보여 윙크를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또한 눈꼽과 분비물이 눈에 달라붙어 눈을 잘 뜨지 못하기도 합니다. 고양이는 안구내 공간이 좁고 안구 결막을 잘 볼 수 없어서 충혈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클라미디아 세균 감염으로 인한 결막염의 경우 결막 부종이 심하게 오고, 노란색의 끈적한 눈꼽이 특징입니다. 칼리시바이러스 감염은 고양이에게 결막염증상보다는 호흡기, 구강 증상으로 나타는편이지만 종종 심한 결막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허피스 감염의 경우 결막염 외에도 증상 발생 나이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허피스 감염에 대해서는 아래에 이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3. 허피스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증 

지난 고양이 감기에서 허피스 바이러스가 눈에 일으키는 증상에 대해서는 가볍게 언급만 하고 지나갔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눈과 관련된 증상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눈에서 나타나는 고양이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환자의 나이대에 따라서 증상의 양상 정도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주로 나이가 어릴 때 발병할 수록 그 증상이 심한 편입니다. 신생아기의 눈을 뜨기 전 고양이에게 발생시 눈꺼풀과 눈썹 가장자리가 붙은 안검유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착된 부위 내부로는 분비물이 잘 배출되지 않아 이차 감염에 취약해집니다.

 

또한 각막 상피 손상으로 인해 각막궤양 및 천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염증이 치료되지 않는 경우 염증이 안구 전체로 퍼져 전안구염으로 변하게 되면 해당 눈을 살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태아기가 지나고 어린 성년의 고양이에게 허피스 감염이 발생하는 경우 주로 급성의 결막 충혈, 결막 부종, 다량의 눈꼽 및 각막염의 형태로 발생합니다. 나이가 있는 고양이의 허피스 감염은 잠복 되어있는 바이러스가 여행, 이사, 다른 고양이의 입양 등의 스트레스 상황이 발생할 경우 미약한 결막 충혈 양상으로 발생합니다.

 

또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허피스가 다시 재발하기도 합니다. 

 

4. 결막염의 진단과 치료? 

결막염은 안과 검진을 통해 결막부위의 염증 소견을 확인함으로써 진단 할 수 있습니다. 결막염을 발생시킨 원인을 알기 위해 바이러스, 세균을 분리 동정하여 원인체를 확인해 볼 수 있으나 환자의 감염 상태나 시료 채취 방법에 따라 음성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임상증상을 종합하여 우선적으로 치료를 시도해보기도 합니다.

 

각막 궤양이 의심되는 경우 형광염색검사를 통해 각막 궤양 여부를 확인합니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적절하게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안약등을 처방 받을 수 있으며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해당 증상에 맞춰서 함께 치료합니다. 안약은 복약 지도 받은 횟수만큼 충분한 횟수로 점안해 주어야하며 내복약 또한 완치가 될 때까지 처방받은 약을 충분히 복용해주는 것이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막 부종이 있는 경우 해당 부분의 각막이 뜨기 때문에 각막을 보호해줄 수 있는 인공눈물을 수시로 넣어주면 안구 보호와 후유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Tip. 고양이 모래에 의해 발생한 결막염의 관리 

고양이 모래에 의해 발생한 결막염의 경우 먼지가 날리지 않는 다른 재질의 모래로 바꾸어 주는 것이 권장됩니다.

 

만약 바뀐 모래에 고양이가 적응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원래 사용하던 모래로 돌아가야 하는데, 이 때 화장실에 천장이 있는 폐쇄형 화장실 보다는 개방형 화장실이, 폐쇄형을 사용한다면 수시로 환기가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위 정보는 2025년 08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자 ⓒ반려생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승연 기자 ksy616@inbnet.co.kr

 
목록

회원 댓글 0건

  • 비글
  • 불테리어
  • 오렌지냥이
  • 프렌치불독
코멘트 작성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욕설 및 악플은 사전동의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스티커댓글

[0/3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