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뉴스 > 칼럼 > 칼럼

[나비와 빠루] 덕이와 삭스, 길고양이에서 퍼스트 캣으로

[나비와빠루] 제 27부

 

[노트펫] 고등어 태비와 치즈 태비는 누구에게나 정겹게 들리는 이름이다. 털의 색깔이 마치 고등어 무늬 같다고 해서 고등어 태비, 치즈 색상을 연상시킨다고 해서 치즈 태비라고 한다.

 

물론 전문적이거나 학술적인 용어는 아니다. 솔직히 누가 만든 이름인지 모르겠지만, 사람들의 귀에 기가 막히게 감기는 기가 막히는 네이밍이다.

 

ⓒ노트펫
고등어 태비 고양이, 2015년 대전에서 촬영

 

고등어 태비와 치즈 태비는 흔한 모색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고등어 태비의 비중이 높다. 치즈 태비라는 말이 생기기 전인 1970년대 할아버지는 그런 색상의 고양이를 노란 고양이라고 했다.

 

할아버지는 종종 “노란 고양이(황묘, 黃猫)들은 한 때 임금님의 사랑을 독차지할 정도로 귀한 대접을 받았다.”며 이들을 “유서(由緖) 깊은 고양이 가문 출신”이라고 했다.

 

유서의 사전적 의미는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까닭과 내력이다. 한때 일국의 군주의 사랑을 독차지했으니 ‘유서 깊다’는 고급 표현을 써도 무방할 것 같다.

 

어른이 되어 알고 보니 고양이를 사랑했던 조선의 임금은 숙종(肅宗)이었다. 그는 조선 후기 개혁군주였던 영조의 아버지이며, 정조의 증조할아버지다.

 

숙종은 임금의 힘이 신하에 미치지 못하던 군약신강(君弱臣强)시절 등극했다. 하지만 집권 후 노회한 정치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왕권을 강화하며 조선후기 부흥의 기틀을 마련한 임금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노트펫
치즈 태비 고양이, 2019년 서울시 강서구에서 촬영

 

그런데 숙종의 사랑을 받은 노란색 고양이는 한 마리가 아니었다. 숙종이 냥줍한 고양이는 금덕(金德)이다. 금덕 사후에도 숙종의 치즈 태비 사랑은 이어졌다. 어미 사후에도 대를 이어 금손(金孫)은 임금의 사랑을 받았다.

 

숙종의 치즈 태비들은 임금의 고양이답게 금(金)이라는 성까지 가지고 있다.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개를 퍼스트 도그(first dog)이라고 하는데, 금덕과 금손은 숙종의 퍼스트 캣(first cat)이라 해도 무방할 것 같다.

 

재임 시절 많은 화제의 중심에 있었던 빌 클린턴(Bill Clinton) 대통령은 1993년부터 2000년까지 8년 동안 백악관의 주인이었다. 그런데 그는 자신의 집권 1기 시절에는 대통령의 마스코트와도 같은 퍼스트 도그가 없었다.

 

미국인 상당수가 애견가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상하게 생각될 정도다. 그 시절 백악관에는 다른 동물이 있었다. 삭스(socks)라는 턱시도 고양이 한 마리가 개의 부재를 대신했다.

 

ⓒ노트펫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과 퍼스트캣 삭스. 1993년
 

삭스라는 이름은 고양이의 외모에 딱 맞는 기막힌 작명인 것 같다. 삭스는 검은 모색에 얼굴 일부와 발끝만 희다. 얼핏 보면 마치 흰 양말을 신은 것 같은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삭스도 숙종의 금덕이처럼 길고양이 출신에서 일약 퍼스트 캣으로 신분이 급상승한 고양이다.

 

하지만 백악관에서 개의 부재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클린턴 2기 시절에는 초컬릿 색상의 래브라도 리트리버 견종의 버디(buddy)라는 3개월 된 강아지가 입성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친구라는 의미의 버디는 그 이름처럼 삭스와 친하게 지내지 못했다.

 

이름값을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삭스와 버디는 견묘지간(犬猫之間)이라는 옛말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이다. 결국 두 마리는 각자 다른 공간을 차지하면서 지냈다고 한다. 

 

*동물인문학 저자 이강원(powerranger7@hanmail.net)

 
목록

회원 댓글 0건

  • 비글
  • 불테리어
  • 오렌지냥이
  • 프렌치불독
코멘트 작성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욕설 및 악플은 사전동의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스티커댓글

[0/300자]